
1. 지리산 산수유의 생태적 특성과 약리적 전통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 구례, 함양, 남원 등 지리산 자락의 청정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 이 지역의 일교차가 크고 토양이 미네랄이 풍부해, 산수유의 유효 성분이 농축되어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산수유를 “신(腎)을 보하고, 정(精)을 수렴하며, 기(氣)를 돋운다”고 기록하였으며, 특히 혈관과 신장의 균형을 유지하는 한약재로 오랫동안 쓰여왔다. 지리산 지역에서는 산수유를 건조시켜 술에 담가 ‘산수유주’로 복용하거나, 차로 끓여 노년층의 원기 회복과 혈액 순환 개선에 이용했다. 전통적 경험이 과학적 분석과 맞물리면서, 산수유는 현대 사회에서 자..